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23

정부가 전국 5곳에 8만 가구 규모의 신규 공공택지 예정지를 공개 정부가 전국 5곳에 8만 가구 규모의 신규 공공택지 예정지를 공개했습니다. 경기침체로 집을 짓지 않는 부동산시장이 어떻게 반응할지 주목됩니다. 오늘 부딩은 ‘공공택지 지정: 기대 반, 걱정 반’에 대해 다룹니다. 5곳에 8만 가구 지어요 경기 구리·오산·용인, 충북 청주, 제주 화북 등 5개 지역. 이곳에 2030년 이후 8만 가구의 주택이 들어섭니다. 정부는 4년 후인 2027년 이 지역에서 첫 사전 청약을 받기로 했습니다. 정부가 새로운 택지를 지정한 이유요? 경기침체로 급감한 착공(공사 시작) 실적 때문입니다. 즉 당장은 어렵더라도 중장기적으로 주택공급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정부의 ‘시그널’ 정도로 이해하면 됩니다. 과거 공공택지와 차이는? 치솟는 수도권 집값을 잡기 위한 ‘서울 접근성’이 빠져 있습.. 2023. 11. 29.
공시가격 현실화란 정부가 공시가격 현실화 제도를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제도 시행 3년 만의 재검토 계획에 다양한 주장이 나옵니다. 오늘 부딩은 ‘공시가격 현실화 재검토: 늘렸다가 줄였다가’에 대해 다룹니다. 공시가격 현실화란? 정부가 정한 부동산 가격을 공시가격이라고 합니다. 보통 실거래가보다 낮게 정합니다. 너무 높게 정하면 세금 부담이 늘어섭니다. 그간 실거래가와 공시가격 간 차이가 커서 세금을 공평히 걷지 못한다는 지적이 따랐는데, 이 차이를 줄여나가기 위한 정책이 ‘공시가격 현실화’입니다. 공시가격이 시세를 얼마나 반영하는지 보여주는 지표는 ‘공시가격 현실화율’이라고 합니다. 그간의 타임라인 공시가격 현실화에 대한 그간의 이슈를 시간 순으로 살핍니다. ▶2020년 문재인 정부는 2035년까지 공시가격을 시세.. 2023. 11. 29.
더블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경제학에서 더블딥은 불황에 빠졌던 경기가 단기간(1~2 분기) 회복했다 다시 불황에 빠지는 상태로 W-자형의 불황을 의미한다. 실질 GDP 성장률로 측정한 경기가 2중(double)으로 가라앉는(dip) 것이다. 더블딥이 전망되면 현재 추진하는 경기부양책의 한계로 인하여 추가적인 경기 부양책이 요구된다. 더블딥은 정책 실패로 간주된다. 정책 실패는 정책당국이 사전에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경우와 사전에 예상했지만 다른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택한 결과의 산물로 구분될 수 있다. 대표적인 더블딥의 사례로 간주되는 미국의 1937-38년의 불황은 전자의 경우이다. 최근의 더블딥 예로 간주되는 미국의 1980-1981년의 불황은 경제정책의 의도적인 전환에 따른 결과이다. 정책실패로 인한 더블딥 1937-38년.. 2023. 10. 10.
집값의 발목을 잡는 세 가지 집값의 발목을 잡는 세 가지 서울 아파트값이 서서히 오르고 있습니다. 다만 매물이 쌓이며 집값 상승세를 짓누르고 있습니다. 집값이 점차 오르자 집주인들이 너도나도 집을 내놓고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 부딩은 ‘하반기 집값 흐름: 집값의 발목을 잡는 세 가지’에 대해 다룹니다. 16개월 만에 반등 서울 아파트값이 월간 기준으로 16개월 만에 반등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5월 서울 아파트값은 전달 대비 0.01% 올랐습니다. 2022년 2월 하락세로 돌아선 후 처음 오른 겁니다. 급매물이 팔리며 거래량이 늘어난 영향입니다. 실제로 올해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월 1417건 △2월 2458건 △3월 2984건 △4월 3187건 △5월 3018건 등 꾸준히 늘었습니다. 집값의 발목을 잡는 세 가지 .. 2023. 10. 10.